최종편집:2024-04-28 00:17 (일)
실시간
[단독] 광주광역시, ‘인공지능 중심’에서 멀어진다

[단독] 광주광역시, ‘인공지능 중심’에서 멀어진다

  • 기자명 김동원, 구아현 기자
  • 입력 2024.03.22 18:07
  • 수정 2024.03.22 22:05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주 AI 집적단지’ 사업 축소 가능성 제기
광주시, “지원 줄어들기보단 달라지는 것” 주장

광주 북구 첨단3지구에 위치한 국가AI데이터센터 모습.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광주 북구 첨단3지구에 위치한 국가AI데이터센터 모습.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인공지능(AI) 중심도시를 표방하던 광주광역시가 AI 중심에서 멀어지고 있다. 연이은 AI 지원 사업 축소로 더 이상 AI 도시로 불리기 어려워졌단 평가다. 실제로 광주시는 AI 시제품 제작 지원 사업, 데이터 바우처 지원 사업이 없어진 데 이어 ‘AI 집적단지 사업’ 역시 축소 위기에 처했다. 이에 광주시는 다방면으로 AI 사업 확대에 나서는 모습이다.

22일 THE AI 취재에 따르면, 정부는 광주시의 AI 집적단지 사업 철수를 준비하고 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AI 집적단지 사업을 페이드 아웃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사실 정부에선 5년 정도 사업을 하고 성과가 나오지 않으면 지원을 그만하는 분위기가 많은데, AI 집적단지 사업 역시 철수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 바람 앞에 등불로 전락한 AI 집적단지 사업

AI 집적단지 사업은 AI 연관 산업 집중 육성을 위해 2020년 본격 발을 뗀 사업이다. 광주 주력 산업인 자동차·에너지·헬스케어에 AI를 융합하는 집적단지를 조성해 향후 5∼10년 후 미래 자동차, 자율주행, 스마트 에너지, 디지털 헬스 등 신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골자였다. 지역경제 성장과 일자리 구조 변화 등 부가 가치 등을 기대했다.

해당 사업은 국가균형발전 사업 일환으로 마련됐다. 정부는 각 지역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한 대형 사업을 공모했고, 각 지자체는 필요에 맞는 사업에 신청했다. 많은 지자체가 도로 건설과 같은 실증 사업에 관심을 가졌지만, 광주시는 국가인공지능중심집적단지 조성사업을 유치했다. 이후 광주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2020년 2월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AICA)을 꾸리고 ‘AI융합복합단지’ 조성공사를 시작했다. 북구 첨단3지구에는 국가AI데이터센터와 실증센터를 건설하기도 했다. 이후 광주시는 2차 사업으로 ‘인공지능 실증도시’ 사업을 준비하고 있었다.

하지만 정부에서 AI 집적단지 사업 지원과 거리를 두면서 해당 사업은 동력을 잃게 됐다. 사실 이 사업은 AI 기업과 대학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했다. 광주시에 둥지를 튼 AI 기업들은 지속적인 지원 축소와 지리적인 한계로 서울이나 경기권으로 이동하거나 지사를 없애는 경우가 많았다. 광주지사를 폐쇄한 AI 기업 대표는 “광주 AI 분위기가 많이 바뀌었다”며 “광주 유치 기업에 관한 혜택이 있지만 조건을 맞추기가 어렵고 사실 특별한 혜택도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광주에서 빠져나간 기업이 많고 다들 사업을 축소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AI 인프라 지원 사업도 부정 평가가 많았다. AI 집적단지 사업 중 하나로 마련된 AI 인프라 지원 사업은 광주시뿐 아니라 전국 기업과 대학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광주시에 국가AI데이터센터가 설립된 이유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기업과 대학은 특별한 혜택을 받지 못했다고 전했다. KAIST 대학교수는 “광주시에 AI 인프라 지원 사업이 있었지만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규모가 작아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곳이 얼마 되지 않고 해당 수준으론 최신 AI 관련 연구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서울에 위치한 AI 스타트업 대표는 “AI 인프라는 모든 AI 기업이 필요로 하는 요소”라면서도 “해당 사업에 지원했지만 혜택을 받지 못했다”고 전했다. 이어 “사업 규모가 너무 작고 거리가 멀다 보니 기업들도 크게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번 사업이 철수되면 광주시는 또 하나의 지원 사업을 잃게 된다. 광주시는 데이터 바우처 지원 사업과 시제품 제작 지원 사업을 더 이상 지원하지 않고 있다. 데이터 바우처 지원 사업은 데이터 전문 기업 대상으로 5000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사업과 중복된다는 이유였다. 시제품 제작 지원 사업은 창업 7년 미만 AI 스타트업 대상 5000만 원 내에서 최대 1억 5000만 원까지 지원하는 과제다. 시비로 운영됐지만 현재는 지원되지 않는다. 

국내 AI 스타트업 관계자는 “사실 광주시가 AI 관련 동력을 잃은 건 작년부터였다”면서 “이미 AI 업계에선 인공지능 중심도시 광주는 끝났다고 얘기한다”고 말했다. 한 관계자는 “광주시의 AI 리더십 부재는 작년부터 나온 얘기”라며 “광주시의 AI 집적도시 사업 등 관련 내용에 대해선 7월에 정확한 얘기가 나올 것”이라고 귀띔했다.

◇ 광주시 “국가 디지털 거점 혁신센터 사업으로 전환하는 것”

광주시에서는 해당 사업이 축소되기보단, 다른 사업으로 전환된다고 보는 게 옳다고 주장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AI 집적단지 사업을 2단계로 추진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가 추진하는 국가 디지털 거점 혁신센터 사업 개념으로 전환하고 대구시와 협력해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 정부가 내세운 국가 디지털 거점 혁신센터에 맞춰 대구에서는 AI 연구개발(R&D)에 집중하고, 광주시는 실증에 전념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광주시는 AI 인프라 사업을 지원하면서 엔비디아의 H100과 A100 같은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의 인프라 규모를 갖췄다”며 “이러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국가 디지털 거점 혁신센터 사업에 동참해 대구시와 함께 AI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원 사업이 쪼그라든다는 건 오해이고 사업이 달라지는 것”이라면서 “예산도 줄지 않고 기존과 같은 수준”이라고 했다.

하지만 현재 수준에선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는 게 광주시의 입장이다. 또 다른 광주시 관계자는 “NIA 데이터 사업은 없어진 것이 맞지만, AI 집적단지 사업은 현재 과기정통부와 논의하고 있는 내용”이라면서 “현재 예산 6000억 원을 신청한 상태이고 결과는 언제 나온다고 정확히 얘기할 순 없는 단계”라고 말했다. 이어 “AI 집적단지 수행기관인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에서도 이 사업이 페이드 아웃된다는 얘기를 들은 적 없다”면서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해당 내용은 아직 모른다”고 답했다.

한편, 해당 사업 축소 가능성이 제기되자 AI 업계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규모가 적지만 해당 인프라를 이용하는 기업이 있었고, 이마저도 없어지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이 받을 수밖에 없단 의견이다. 한 AI 스타트업 관계자는  “중국은 정부와 지자체에서 AI 인프라를 크게 지원하고 있다”면서 “한국도 AI 강국으로 거듭나기 위해선 AI 인프라 지원 사업이 지역에 상관없이 많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THE A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